2024년부터 청년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첫째, 취업 준비에 대한 지원입니다.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의 50% 할인과 빈 일자리 업종 취업지원금이 대표적인데요.
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의 50% 할인은 만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1년에 3번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정보처리기사, 산업안전기사 등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수행하는 493개 시험이 할인 대상입니다.
빈 일자리 업종 취업지원금은 만 15~34세의 청년이라면 최대 2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빈 일자리 업종이란 일자리는 많은 데 비해 지원자 수가 낮은 업종으로, 조선업, 제조업, 건설업 등이 있습니다.
둘째,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입니다. 알뜰교통카드와 K-패스가 대표적인데요.
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이동한 거리를 인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. 하지만 K-패스는 1달에 21번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, 이용 횟수에 따라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만19~34세의 청년은 30%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
셋째, 내 집 마련을 위한 지원입니다.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이 대표적인데요.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주택이 없는 만 19~34세의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청약통장입니다. 청년우대형 청약통장보다 0.2%p 높은 연 최대 4.5%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으며, 가입할 때의 소득 조건도 완화됐습니다.
이러한 청년 혜택은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,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'말 같지도 않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업주부 vs 워킹맘, 아이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? (2) | 2024.01.14 |
---|---|
용 배경으로 가볼만한 여행지 TOP5 (2) | 2024.01.14 |
2024년 갑진년 닭띠 운세를 알아봅시다. (1) | 2023.12.26 |
2024년 갑진년 돼지띠 운세 (1) | 2023.12.26 |
2024년 갑진년에 개띠 운세는 어떨까? (0) | 2023.12.25 |
댓글